문제
동수는 제과점에 과자를 사러 가는데 현재 가진 돈이 모자랄 경우 부모님께 모자란 돈을 받으려고 한다. 과자 한 개의 가격이 K, 사려고 하는 과자의 개수가 N이고, 현재 가진 돈의 액수를 M이라 할 때 여러분은 동수가 부모님께 받아야 하는 모자란 돈을 계산하려고 한다.
예를 들어, 과자 한 개의 가격이 30원, 사려고 하는 과자의 개수가 4개, 현재 동수가 가진 돈이 100원이라 할 때, 동수가 부모님께 받아야 하는 돈은 20원이다. 과자 한 개의 가격이 250원, 사려고 하는 과자의 개수가 2개, 현재 동수가 가진 돈이 140원이라 할 때, 동수가 부모님께 받아야 하는 돈은 360원이다. 과자 한 개의 가격이 20원, 사려고 하는 과자의 개수가 6개, 현재 동수가 가진 돈이 120원이라 할 때 동수가 부모님께 받아야 하는 돈은 0원이다. 과자 한 개의 가격이 20원, 사려고 하는 과자의 개수가 10개, 현재 동수가 가진 돈이 320원이라 할 때 동수가 부모님께 받아야 하는 돈은 역시 0원이다.
과자 한 개의 가격, 사려고 하는 과자의 개수와 동수가 현재 가진 돈의 액수가 주어질 때 동수가 부모님께 받아야 하는 돈의 액수를 출력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하시오.
입력
첫 번째 줄에는 과자 한 개의 가격 K, 사려고 하는 과자의 개수 N, 현재 동수가 가진 돈 M이 각각 공백을 사이에 두고 주어진다. 단, K, N은 1,000 이하의 양의 정수이고, M은 10만 이하의 양의 정수이다. (1 ≤ K, N ≤ 1,000, 1 ≤ M ≤ 100,000이다.)
출력
첫 줄에 동수가 부모님께 받아야 하는 돈의 액수를 출력한다.
풀이
1. k, n, m 변수를 받는다.
2. 물건의 가격*개수가 받은 돈보다 클 경우에만 계산하고, 그렇지 않으면 0으로 처리한다.
K, N, M = map(int, input().split())
if (K*N>M):
result = K*N-M
else:
result = 0
print(result)
'코테 준비' 카테고리의 다른 글
백준 7567번 - 그릇(Python) (0) | 2022.05.21 |
---|---|
백준 2754번 - 학점계산(Python) (0) | 2022.03.25 |
백준 2476번 - 주사위 게임(Python) (0) | 2022.03.20 |
백준 4101번 - 크냐?(Python) (0) | 2022.03.18 |
백준 2480번 - 주사위 세개(Python) (0) | 2022.03.16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