프로젝트 관리
: 소프트웨어 프로젝트를 구성하고, 계획을 세우고, 일정을 정하는 것
: 소프트웨어는 개발하는 조직에 의해 설정된 예산 및 일정에 대한 제한조건에 항상 영향을 받기에 관리는 꼭 필요함
: 차이점 - 유연함, 만질 수 없음, 개발 프로세스가 표준화 X, 타 공학과 달리 공학으로 인정 X
예산과 시간에 맞춰 인원 선발, 계획 수립 등을 해야한다.
활동의 구성
: 진척사항 평가 및 관리를 위해, 프로젝트 안의 활동들을 눈에 보이는 결과를 만들도록 구성해야 함.
: 이정표(Milestones) - 어떤 프로세스 활동이 끝난 시점
: 인도물(Deliverables) - 고객에게 전달되는 프로젝트 결과물
: 폭포수(waterfall) 프로세스는 진척사항에 대한 이정표에 대해 직관적인 강의를 가능하게 함
W5HH 원칙
1. 시스템이 왜(Why) 개발되고 있는가?
2. 무엇(What)을, 언제(When)까지 해야하는가?
3. 이 기능을 누가((Whyo) 책임지는가?
4. 그들이 조직 편제상 어디에(Where) 있는가?
5. 그 일이 어떻게(how) 실무 차원 및 관리차원에서 완수되는가?
6. 각 자원은 얼마나(how) 많이 필요한가?
프로젝트 일정 수립
: 프로젝트를 작업(tasks)들로 나누고, 각각의 작업을 완성하는데 필요한 시간과 자원들을 추정함
: 작업력의 최적화된 사용을 위해 작업들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도록 구성
: 작업간 종속성 최소화(한 작업의 지연이 다른 작업에 영향을 미치는 걸 줄이기 위해)
: 프로젝트 관리자의 직관과 경험에 의존
프로젝트 지연 원인
: 외부에 의해 정해진 비현실적인 마감기한
: 고객의 요구사항 변경
: 작업을 수행하는데 필요한 노력의 양 또는 자원에 대한 과소평가 등등
위험 관리
: 프로젝트에서 어떤 안 좋은 상황이 발생할 가능성을 식별하고 그 영향을 최소화 할 수 있도록 계획을 수립하는 것
: 위험은 기술, 인력, 조직, 도구, 요구사항, 추정 등의 요인 존재
위험 관리 프로세스
: 위험 식별 - 프로젝트, 프로덕트, 비즈니스 위험들을 식별
: 위험 분석 - 이런 위험들의 발생 가능성과 미치는 영향을 측정
: 위험 계획 수립 - 위험의 영향을 피하거나 최소화하기 위한 계획 수립. 회피, 최소화, 비상 계획 등을 사용
: 위험 감시 - 프로젝트 내내 위험을 감시
'전공 > 소프트웨어공학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시스템 모델 (0) | 2021.11.09 |
---|---|
요구 공학 프로세스 (0) | 2021.10.16 |
요구 사항과 설계 (0) | 2021.10.16 |
소프트웨어 요구사항 (0) | 2021.10.05 |
소프트웨어 프로세스 (0) | 2021.10.04 |